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아자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혼란에 빠진 국민의힘 소식 깊숙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자 끝내 사퇴했네요. 버티는 듯 했는데 못 버틴 겁니까. <br><br>사실 김기현 대표가 대표직을 유지할 기회는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. <br><br>저희가 취재를 해보니 분위기가 급변한 건 이틀 전, 지난 11일부터입니다. <br><br>지난 주말까지 친윤 주류 측과 김 대표 주변에서는 11일 혁신위 종료와 맞춰 총선 불출마를 해야 한다는 조언, 좀 더 강하게 말하면 압박을 김 대표에게 전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그러면 대표직을 유지할 수 있다는 거죠. <br> <br>하지만 기억하시겠지만, 지난 11일 인요한 혁신위가 마지막 혁신안을 보고하고 종료되는 시점에도. 김 대표, 뚜렷하게 답하지 않았죠. <br> 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대표(그제)]<br>"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즉생의 각오와 민생과 경제를 살리라는 국민의 목소리에 답해나갈 것입니다." <br><br>당 주류 핵심 진영에서는 이건 김 대표가 '불출마' 권유를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은 거다, 이렇게 해석됐고요. <br><br>김 대표 불출마 이후 선언하려고 했던 장제원 의원의 불출마 선언을 앞당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김 대표 불출마를 압박하기 위해서죠. <br> <br>한 여권 핵심 관계자는 "장제원 의원의 불출마가 김 대표에겐 마지막 기회" 라고 표현하기도 했는데. <br><br>김 대표는 장 의원 불출마 이후에도 불출마 의사를 밝히지 않았고, 오늘 오후 대표직 사퇴 입장을 냈습니다. <br><br>Q. 사실 지난주만 해도 윤석열 대통령이 김기현 대표와 식사를 했고 그래서 윤심이 김 대표에게 있는 것 아니냐 해석 나왔었거든요.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주변 인사들은 말씀드린대로 지난 주만 해도 총선을 4개월 앞두고 비대위 체제로 가는 건 당에 큰 부담이라며 김기현 체제로 '질서 있는 변화' '스텝 바이 스텝' 이야기를 했었죠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도 두 차례나 김기현 대표와 식사했고요. <br> <br>그러면서 불출마를 압박했다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오히려 김 대표가 출마 의사를 굽히지 않고, 울산 지역구에 출마하려고 사퇴했던 울산 남구청장이 출마 의사까지 접자, 당내 주류도 등을 돌렸습니다. <br> <br>어제부터는 친윤 핵심 의원들 사이에서도 "이미 늦었다. 불출마를 선언해도 더는 신뢰를 잃어 대표직을 유지할 수 없을 것 같다"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습니다. <br> <br>김 대표는 오늘 사퇴 입장문에도 불출마 의사는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반면, 김기현 측 인사에게도 입장을 들어봤는데요. <br> <br>"김기현 대표가 백의종군 뜻을 밝힌 게 맞다"고 전하면서 "김 대표는 오늘 이준석 전 대표를 만나 신당 행보를 말렸고, 이상민 전 민주당 의원도 만나 입당도 권유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Q. 김 대표 사퇴 이후를 보죠. 원내대표 대행체제로 가서 비대위원장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검토된다고요? <br><br>네. 실제로 당 지도부는 비대위원장 검토에 착수했는데요. <br><br>한동훈 법무부장관이 가장 많이 거론됩니다. <br><br>지지율도 높고 한 장관처럼 새로운 인물이 당 쇄신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인데요. <br><br>그렇다면 '한동훈 비대위원장'이 얼마나 가능성 있느냐도 궁금하시죠. 그래서 물어봤는데요. <br><br>한 장관과도 가까운 여권 관계자는 한 장관이 비대위원장이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.<br><br>▲의원들의 요청이 있어야 하고, ▲한동훈 장관 본인의 결심이 필요하다. <br><br>그런데 이 두 가지, 아직은 충족이 안 됐습니다. <br> <br>Q.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 분위기입니까? <br><br>한 장관으로서는 의원들이 총의를 모아 한 마음으로 요청해주는 모양새를 바라는 건데요. <br><br>한 장관이 국민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건 맞지만 당내에서는 정치력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, 비대위원장 보다는 선대위원장이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> <br>공천을 둘러싼 당내 갈등에 휩싸이기 보다 국민을 만나고 다니는 게 낫다는 거죠. <br> <br>한 장관 본인도 아직은 맡을 뜻이 없는 것 같습니다.<br> <br>당의 제안에 한 차례 고사했다고 전해지는데요. <br> <br>당의 현재 위기상황을 고려할 때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부담이 있겠죠. <br><br>그러다보니 당내에서는 정치 경험이 풍부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, 김한길 국민통합 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비대위원장과 함께 당의 공천을 책임질 공관위원장 자리도 관심이 많은데요. 이건 누가 합니까? <br><br>당 내부에서는 이 인물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인요한 / 전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(지난달 30일) ] <br>"혁신위에 전권 주신다고 공언하셨던 말씀이 허언이 아니면 저를 공관위원장으로 추천해주시기 바랍니다."<br> <br>인요한 위원장의 공천관리위원장을 가장 반대했던 김기현 대표가 사퇴한 상황이죠. <br> <br>혁신위가 좌초하면서 당 리더십의 위기가 더해진 만큼 인 위원장을 다시 불러내 혁신의 분위기를 되살리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렇게 되면 희생의 대상으로 거론됐던 지도부, 중진, 친윤의 공천 물갈이 바람도 거세질 수 있죠.<br><br>총선 4개월을 앞두고 리더십의 무너진 여당이 잘 수습해 쇄신의 길로 갈지 무한한 권력투쟁, 혼란의 길로 갈지 기로에 섰습니다. <br> <br>Q. 아는기자 김민지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